728x90
SMALL

Linux 22

[Linux] 통신망 종류

🍧 LAN빌딩 내 혹은 근접한 거리의 빌등들로 제한된 지역에 설치된 정보 기기들 사이의 고속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종류 : Ethernet, Token Ring, FDDI포톨로지 종류🍦 스타 형 : 별모양 연결이며, 중앙 집중식임. 관리하는 중앙 컴퓨터 고장시 전체 네트워크 사용 불가🍦 망 형 : 모든 노드가 1:1로 연결 됨. 대량 데이터를 송수신 할 경우 적합. 장애 발생 시 영향이 적음. 회선 구축 비용 많이 듦🍦 버스 형 : 연결된 컴퓨터 수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이 변동. 문제가 발생한 노드 위치 알기 어려움🍦 링 형 : 앞의 컴퓨터로 수신한 내용을 다음 컴퓨터에 재전송하는 방법. 토큰패싱이라는 방법을 통해 데이터 전송. 고속 네트워크로 자주 네트워크 환경이 바뀌지 않는 경우 구성. 노드..

Linux 2024.12.11

[Linux] nice 와 renice 차이

🍧 nice프로세스 사이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NI 값을 조정하여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조정할 수 있는 NI값의 범위는 -20 (가장 높은 우선권) ~ 19 (가장 낮은 우선권)우선순위 0의 값을 가지며 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옵션 -n을 사용하지 않으면, 디폴트는 10이다조정수치가 생략되면 명령의 우선권은 10만큼 증가일반 사용자는 nice 값을 증가시킬 수 밖에 없고, root는 nice값을 감소시켜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다.양수 값 : -, 음수 값 : -- 🍧 renice이미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어프로세스 소유자와 루트 권한자만이 명령을 내릴 수 있다.우선순위 변경 시 프로세스 ID, 사용자 명, 프로세스 그룹 ID를 사용명령어..

Linux 2024.12.08

[Linux] 데몬 (Daemon) 이란?

🍧 데몬(Daemon)이란?리눅스 시스템이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메모리에 상주하면서 사용자의 특정 요청이 오면 즉시 실행되는 대기중인 서버 프로세스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실행사용자들은 이 프로세스들을 볼 수 있는 권한이 없다 🍦 리눅스에서 데몬을 실행하는 방법standalone 데몬- 서비스가 요청이 들어오기 전에 서비스가 메모리에 상주하는 단독 실행 방식- 독립적으로 수행되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항상 메모리에 상주- 빠른 응답속도를 요하는 경우에 사용- 메모리에 항상 상주하므로 메모리 점유로 인한 서버 부하가 큼- 실행 스크립트 위치는 "/etc/inetd.d/"- 관련 서비스 : http, mysql, nameserver, sendmaili..

Linux 2024.12.08

[Linux] 저널링,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

🍧 저널링 파일 시스템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종료 시 저널(로그)을 이용해 빠르면서도 안정적인 복구가 가능데이터를 디스크에 쓰기 전에 로그에 데이터를 남겨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셧다운에도 로그를 사용해 빠르고 안정적인 복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운영 형태저널이라는 로그에 시스템 전 상태를 저장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종료 시 저널(로그)를 검사저널(로그) 정보를 바탕으로 파일 시스템에 수정 내용을 적용종류파일 시스템 설명JFS- Journaling File System의 약자- IBM사의 독자적인 저널링 파일 시스템- GPL로 공개하여 현재 리눅스용으로 개발XFS- eXetended File System- 고성능 저널링 시스템- 파일 수에 관계 없이 예상치 못 한 상황으로부터 신속한 복구와 재시작 가능- 높은 확장..

Linux 2024.12.08

[Linux] 특수 권한 SetUID 와 SetGID

🍧 SetUID와 SetGID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해당 프로세스의 root 권한을 임시로 가져오는 기능프로세스가 사용자보다 높은 수준의 접근을 요구할 때 파일 접근 제한으로 인해 원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🍦 SetUID사용자가 사용자할 때만 소유자 권한으로 파일을 실행시킨다.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프로세스는 파일의 소유자와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실행 파일에 setuid를 설정하면 소문자 's'가 되고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.실행 파일이 아닌데 sestuid를 설정하면 대문자 'S'가 되고 실행할 수 없다🍦 SetGID사용자가 사용할 때만 그룹 권한으로 파일을 실행한다.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프로세스는 파일의 그룹과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권한이..

Linux 2024.12.08

[Linux] 프로세스 유틸리티

🍧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 🍦ps (process status)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CPU 사용도가 낮은 순서로 출력'ps'와 'grep'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'ps ax | grep httpd' 는 httpd프로세스들의 상태를 나타 냄좀비 프로세스는 kill 시그널을 받아도 종료되지 않는다. 이 프로세스는 이미 현재 프로세스에 대한 모든 정보가 메모리에서 사랴졌음에도 부모 프로세스가 정상적인 종료 처리를 하지 못해 발생 🍦pstree실행중인 프로세스들을 트리 구조로 나타낸다 🍦jobs작업이 중지된 상태, 백그라운드로 진행중인 상태, 변경되었지만 보고되지 않은 상태 등을 표시+ : 현재 작업 실행, - : 앞으로 실행될 작업 (대기 상태 ..

Linux 2024.12.07
728x90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