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SMALL
서블릿 객체 (HttpServletRequest, HttpServletResponse)를 누가 호출 하는가 ?
ㄴ쓰레드가 호출
쓰레드 (Thread)
-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하나하나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쓰레드
- 자바 메인 메서드를 처음 실행하면 main이라는 이름의 쓰레드가 실행
- 쓰레드가 없다면, 자바 어플리케이션 실행 불가능
- 쓰레드는 한 번에 하나의 코드 라인만 수행
- 동시 처리가 필요하면, 쓰레드를 추가로 생성
쓰레드 풀을 만들어서 사용한다.
(쓰레드를 여러개 생성하고, 제거하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미리 쓰레드를 만들어서 쓰레드 풀에 보관하고 관리한다.)
[사용]
- 쓰레드가 필요하면, 이미 생성되어있는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서 꺼내어 사용
- 사용을 종료하면 쓰레드 풀에 해당 쓰레드를 반납
- 최대 쓰레드가 모두 사용중이어서 쓰레드 풀에 쓰레드가 없다면??
- 기다리는 요청은 거절하거나 특정 숫자만큼만 대기하도록 설정 가능.
쓰레드 풀은 미리 쓰레드가 생성되어 있기때문에,
쓰레드를 생성하고 종료하는 비용 (cpu)가 절약되고, 응답 시간이 빠르다 !
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가 있으므로 너무 많은 요청이 들어와도 기존 요청은 안전하게 처리 가능.
‼️근데, 멀티 쓰레드 부분은 WAS가 처리해줘서 신경 안 써도 된다.
- 개발자는 싱글 쓰레드 프로그래밍을 하듯이 편리하게 소스 코드를 개발
- 단, 멀티 쓰레드 환경이므로 싱글톤 객체 (서블릿, 스프링 빈)는 주의해서 사용
728x90
LIST
'Spring, Java 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@NoArgsConstructor와 @AllArgsConstructor 사용하는 이유 (0) | 2024.11.04 |
---|---|
WebFlux 개념 (알아보기) (0) | 2024.06.16 |
서블릿 HttpServletRequest, HttpServletResponse 차이점 (2) | 2024.06.16 |
throws 와 throw new 차이점 (0) | 2024.06.01 |
Spring 에서의 예외처리 방법 @ControllerAdvice와 @ExceptionHandler (0) | 2024.06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