🥐전용선 및 VPN
온프레미스 환경과 AWS에서 생성한 VPC를 연결하는 경우 인터넷 외에
전용선이나 VPN(Virtual Private Network)를 사용 한다.
전용선 ?
거점 간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전용의 통신 회선
-> 회선 소유자만이 통신할 수 있어, 속도가 빠르지만 구축 비용 多
VPN ?
인터넷을 가상으로 전용선처럼 취급하는 기술
- 사이트 간 VVPN (Site to Site VPN - 거점 간 VPN)
- 원격 VPN (Remote VPN)
🥐AWS Direct Connect
AWS와 온프레미스 환경 사이에 전용선을 만드는 서비스로 DX라고도 함.
AWS가 지정하는 연결 거점까지의 전용선을 사용자가 준비하면, AWS는 연결 거점부터 사용자의 계정 환경까지 통신을 연결한다.
🥐AWS VPN
- AWS Site-toSite VPN
- 두 사이트를 연결하는 VPN을 구성하기 위한 서비스.
- AWS 네트워크 안에 가상 프라이빗 게이트웨이라는 VPN 접속지를 생성하고, 온프레미스 환경의 라우터 장비와 VPN으로 연결
- AWS Client VPN
- 원격 VPN을 이용해 AWS에 연결하는 서비스
- Client VPN 엔드포인트라고 하는 VPN 접속지를 생성하고, 접속자 컴퓨터에 설치된 VPN 연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AWS VPC에 프라이빗 IP 주소와 통신할 수 있게 함.
🥐AWS Transit Gateway
VPC 연결을 통합하는 서비스
거점 및 VPC별로 설정한 내용을 ,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할 수 있어 간단한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.
🥐AWS PrivateLink
VPC 엔드 포인트를 생성하는 서비스
인터넷을 통하지 않고 내부적으로 다른 VPC와 통신 가능
🥐Amazon API Gateway
웹 API를 생성하는 서비스
이용자는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만을 구현해도, API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.
🥐AWS Global Accelerator
전 세계에 퍼져있는 AWS 네트워크망을 이용해 클라이언트가 AWS에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
이를 이용하면,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고정 IP 주소가 발급돼 글로벌 트래픽 관리를 간소화 할 수 있다
🥐AWS Ground Station
인공위성 이용 예약과 AWS가 소유한 기지국과의 통신을 할 수 있게 한다.
'AWS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RDS (AWS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) (0) | 2024.04.20 |
---|---|
데이터베이스(DB) 기초 지식 (0) | 2024.04.20 |
CloudFront (AWS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 CDN 서비스) (0) | 2024.04.20 |
Amazon Route 53 ( AWS DNS 서비스 ) (0) | 2024.04.20 |
Elastic Load Balancing (AWS 로드 밸랜서 서비스) (0) | 2024.04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