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WS와 온프레미스에서 하드웨어 문제 발생시 책임은 어떻게 지는가?
온프레미스
사용자가 책임을 지고 수리 및 복구작업을 실시한다 (왜냐하면, 사용자가 데이터 센터에 직접 구축했으니까)
AWS
AWS가 책임을지고 복구한다.
이러한 책임 범위를 AWS에서는 '공동 책임 모델 (Shared Reponsibility Model)' 이라는 형태로 정의한다.
🥐 리전 >> 가용 영역 AZ
AWS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센터는 전 세계에 존재하며,
지역 별로 리전(region) 단위로 분리돼 있다.
또 각 리전(region)에는 가용 영역 (Available Zone :: AZ)이 여러개 존재하며,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된다.
여러개의 리전 안에 여러개의 AZ 안에 여러개의 데이터 센터....
리전의 각 AZ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있기에, 데이터 센터 장애와 같은 대규모 장애가 발생하더라도, 다른 AZ에서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.
🥐 AWS 이용 요금
서비스별 요금 x 이용 시간
🥐 서버의 자원과 수 변경
AWS에서 생성한 자원 (CPU, 메모리양)이나 수를 쉽게 변경 가능하며, 구축된 서비스의 사용자가 증가했을 때
서버 수를 늘리거나 사양을 높이는 등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다.
🥐 장애 예상 설계
AWS는 장애는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전제이다.
장애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 아니라,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를 지속해서 제공 가능해야한다.
== 'Design for Fauilure'
서버를 여러 AZ에 배포해 한 개 이상의 AZ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.
시스템을 중단 없이 계속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용성이라고 한다.
AWS에서 설계의 모범이 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.
참고)
https://wa.aws.amazon.com/index.ko.html
AWS Well-Architected 프레임워크 - AWS Well-Architected 프레임워크
AWS Well-Architected 프레임워크 개요 이 백서는 AWS Well-Architected 프레임워크에 대해 설명합니다. AWS 환경 설계, 제공 및 유지 관리에 모범 사례를 적용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합니다. 또한 W
wa.aws.amazon.com
AWS Well-Architected - 안전하고 효율적인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구축
AWS Well-Architected Lenses는 AWS Well-Architected에서 제공하는 지침을 기계 학습(ML), 데이터 분석, 서버리스, 고성능 컴퓨팅(HPC), IoT, SAP, 스트리밍 미디어, 게임 산업,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및 금융 서비스
aws.amazon.com
'AWS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램 방식으로 AWS 조작 , 비용관리 (0) | 2024.04.13 |
---|---|
AWS 사용자 (0) | 2024.04.13 |
AWS 서비스 분류 (0) | 2024.04.13 |
클라우드(Cloud)? (0) | 2024.04.13 |
AWS (Amazon Web Services) ? (0) | 2024.04.13 |